본문 바로가기
사혈정보

[심천사혈동영상] 명현 현상이 왜 일어날까요?

by ʘ 2017. 10. 26.
728x90
반응형

심천사혈동영상/명현 현상이 왜 일어날까요?

 

 

 

 

명현 현상이 왜 일어날까요?

 

질문

심천사혈요법 책도 읽고, 현재 배움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사혈을 하면 피가 모자라서 빈혈현상도 일어나고, 알부민도 맞아야 한다는데 초보자라 의문이 있습니다. 우리가 헌혈을 할 때 300~500cc를 뽑아도 심각한 증상이 있다는 얘기를 듣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하루 1시간 정도 사혈할 때 제거되는 어혈과 생혈의 양이 100~200cc정도로 그다지 많아 보이지 않는데 일주일에 한번 정도 사혈한다면 새로 생성되는 피가 약 200cc정도 된다고 했을 때, 입출력 양이 거의 맞을 것 같은데 왜 상기와 같은 증상이 일어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사람마다 조혈기능은 차이가 많이 있습니다. 젊은 사람과 나이든 사람과의 차이는 어혈의 양이 차이가 나듯이 개개인의 정도에 따라 조혈기능의 차이가 있는데, 이 말씀은 건강한 사람이 하루에 혈액 생산량이 50cc인 반면 건강하지 않은 사람과 나이에 따라 20cc 혹은 그 이하의 조혈기능도 되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흔히 20대의 젊은 사람과 50대의 건강한 사람과의 조혈기능은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양의 사혈을 3개월 하여도 20대의 젊은 사람은 피 부족에 대한 변화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반면, 50대의 건강한 사람은 피 부족을 쉽게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혈이 빠져나온 만큼 수분이 차게 되고 그 수분과 기존의 혈액이 섞이면서 혈액의 농도가 묽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매주 사혈 시 누적 손실이 생기는데 평상시에 피가 잘 돌지 않거나 조혈의 기능이 좋지 않은 분들에게 다양한 명현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계획된 사혈과 조혈제 섭취를 철저히 해 주는 것이 피 부족 예방과 명현현상에 대한 안정적인 흐름을 잡을 수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