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천사혈동영상/사혈을 해도 피가 안 나올 때는 어떻게 하는가? ♬
▣ 사혈을 해도 피가 안 나올 때는 어떻게 하는가?
사혈을 시도해도 어혈이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10명 중 3명 정도는 안 나오는데, 이런 경우는 어혈이 그곳에 쌓인 지가 오래 되어 혈관이 퇴화되었거나, 어혈의 농도가 너무 걸쭉해서 나오지 못하는 것입니다. 좁쌀알처럼 까맣게 맺혀서 솜으로 닦으면 똘똘 말리고 맙니다. 그래도 꾸준히 반복하면 결국은 나오는데 그러기엔 너무 지칩니다. 어혈을 제거할 때 한 곳의 사혈자리에서 계속 5회를 시도하고, 하루건너 한 번씩 5회를 시도해도 어혈이 안 나오면, 어혈이 분해되어 묽어지게 하는 한약처방을 받아서 20일 정도를 섭취한 후에 사혈을 합니다. 그러면 어혈의 농도가 묽어져서 나옵니다.
이 경우 기존 한의학 처방은 한약재만의 처방을 하지만, 심천의학은 어혈불림과 체력의 보강이 보완되어야하기 때문에 붕어, 염소, 식용개구리, 뱀장어, 오리 등을 한약과 함께 처방하는 점이 다릅니다. 체력보강에 있어서는 염소나 식용개구리 등을 응용하고 어혈불림에 대해서는 불포화지방인 붕어, 오리, 뱀장어 등을 이용하는데 환자의 소화상태나 설사정도를 참고하여 정합니다. 소화불량과 설사상태는 불포화 농도가 심할수록 강하고, 포화지방 쪽으로 가까운 성분은 설사 위험이 낮습니다.
이러한 한약 처방을 할 수 없을 때는 온열기구를 이용해서 사혈하고자 하는 곳을 따뜻하게 해 놓고 사혈하면 도움이 됩니다. 왜냐하면, 어혈은 지방질이나 단백질로 되어 있어서 온도가 오르면 묽어지고 온도가 내려가면 걸쭉해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천사혈동영상] 사혈 후에 생긴 물집 (0) | 2017.10.16 |
---|---|
[심천사혈동영상] 사혈 시 금기사항 (0) | 2017.10.15 |
[심천사혈동영상] 사혈은 언제까지 하면 되는가? (0) | 2017.10.13 |
[심천사혈동영상] 눈사태 현상과 피 부족 현상의 구분 (0) | 2017.10.12 |
[심천사혈동영상] 눈사태 현상이란? (0) | 2017.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