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심천사혈동영상/눈사태 현상과 피 부족 현상의 구분 ♬
▣ 눈사태 현상과 피 부족 현상의 구분
사혈을 하다 보면 피가 부족해서 나타나는 현상과 일시적인 눈사태 현상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의 구분을 잘 하지 못하여 혼돈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외과적인 통증이 있을 때 그 정도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한 두 번의 사혈로 해소가 되지 못하고 눈사태 현상으로 인하여 다시금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단기적 사혈과 장기적 사혈의 과정에서 피가 부족해서 온 경우라면 조혈에 대한 조치와 휴식기를 가지면 해당 통증 및 상태가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휴식기를 가진 이후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해당 부위는 눈사태 현상으로 다시금 막힘으로 인하여 통증이 유발 된 것이기에 충분한 사혈로 소통을 하여 해당 문제를 잡아야 합니다.
피 부족 현상으로 인한 증상은 말 그대로 다시금 피가 보충이 되면 사라지게 됩니다. 피 부족 현상이 왔다고 하더라도 혹여 응급상황으로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라면 눈사태 현상으로 인한 경우라고 생각하고 조혈에 대한 조치를 철저히 적용한 후 막힌 부분을 소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천사혈동영상] 사혈을 해도 피가 안 나올 때는 어떻게 하는가? (0) | 2017.10.14 |
---|---|
[심천사혈동영상] 사혈은 언제까지 하면 되는가? (0) | 2017.10.13 |
[심천사혈동영상] 눈사태 현상이란? (0) | 2017.10.11 |
[심천사혈동영상] 사혈에 있어서 휴식기의 중요성 (0) | 2017.10.10 |
[심천사혈동영상] 피부족 예방방법 (0) | 2017.10.09 |
댓글